들어가는 글
안녕하세요 12월 30일 AWS SAA자격증을 취득했습니다.
정보처리기사는 필요에 의해서 취득한 느낌이 강했지만 SAA의 경우는 실제로 AWS를 사용해보면서 얻은 지식을 검증하기위해 취득한 것으로 준비하는 과정이 재밌었던 것 같습니다.
특히나 사용해보지 않았던 서비스들을 간략하게 이해할 수 있었고 서버리스 아키텍처에도 흥미가 생겨 다음에 진행할 사이드 프로젝트는 API Gateway & Lambda를 써볼까 생각하고 있습니다.
공부시간/느낀점
저의 경우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꾸준히 AWS에 대해 학습했기 때문에 공부 시간을 선정한다는 것이 조금 애매하지만
SAA취득만을 목표로 공부한 시간은 이틀정도 되는것 같습니다.
EC2, SG , NAT , VPC , Subnet , ASG , ELB , S3 , CloudFront 등에 대해서 사전 지식이 있다면
온 프레미스 환경에서 AWS기반으로 Migration하는 부분만 보시면 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필요해 보이진 않습니다.
그런만큼 SAA를 취득했다고 해서 "AWS에 대해 높은 이해도를 가진다!" 라고 말하기도 어려우며 사실상 Spring과 비슷한 느낌인 것 같습니다.
백엔드 누구나 Spring을 사용하지만 Spring Core , MVC , WebFlux , Cache , Security , Data .... 등 너무나 방대한 프레임워크이기 때문에 "나는 Spring을 잘 다룬다!"라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많지 않듯이요
이 글은 2024년에 취득과 동시에 작성하려했는데요.. 자격증 시험날 자체가 12월 30일이기도 했고 해커톤 일정과 겹쳐 2025년에 글을 작성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날이 추워지면서 몸이 굳어 게을러지기라도 하는 모양입니다.
마지막으로 AWS관련 발표와 합격사진 올리고 마무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보처리기사 합격 후기 (1) | 2024.12.1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