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을 작성합니다.

블로그를 꾸준히 이어가겠다고 다짐했는데,
미디엄 기준 마지막 글 작성일이 5월, 티스토리 기준 2월인 것을 보면 반성하게도 되고
돌아보면 글을 쓸 시간조차 없을 만큼, 정말 가파르게 달려온 상반기였던 것 같습니다.

그만큼 많은 일들이 있었습니다.
우선 2018년에 입학한 학교를 2025년에 졸업하며 약 7년간의 대학 생활을 마무리했습니다.
또 최근에는 가비아 인턴십 전환에 실패하고, 카카오게임즈 최종 면접에서도 고배를 마셨습니다.

연달아 두 번의 실패를 겪고 나니 아쉽고 마음이 꺾이기도 했습니다.
특히 카카오게임즈 탈락 이후에는 며칠 동안 아무것도 하지 못한 채, 집에만 있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나는 무엇을 배웠나?

실패는 늘 아프고 쓰라리지만 그만큼 크게 배웁니다.

가비아 인턴십 연계 실패에서는 "일을 대하는 자세를" 배웠고
카카오게임즈 최종 탈락에서는 "나를 온전히 이해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가비아 인턴십을 진행하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은 평가를 받을 수 있지?"
"어떻게 하면 내가 전환이 가능하지?"라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었습니다.

개발자로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까 보다, 불안과 조바심이 앞섰죠.
결과적으로는 정직원 전환에 실패했고, 돌아보며 든 첫 생각은 "뭐가 그리 무서워서 안절부절 했을까?"였습니다.

어차피 결과는 컨트롤할 수 없는 일인데..
그 순간순간에 더 많은 걸 배우고, 얻고, 누려야 했다는 아쉬움이 남았습니다.

이번 카카오게임즈 최종 탈락 후에는 "그렇다고 생각하는 것과 실제로 그런 것은 다르다"를 깨달았습니다.
분명 내 이야기를 한 것 같은데, 그 안에 진짜 ‘나’는 없었던 것 같았어요.

잇단 두 번의 실패는 마치 두 다리가 부러지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제는 정말 남의 평가가 아닌 스스로의 가치관과 생각을 말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겼습니다.
다리가 부러지고 나서야 스스로 걷는 방법을 배우는 것 처럼요.

나는 왜 개발자가 되고 싶었나?

임원 면접에서 가장 어려웠던 질문이었습니다.
면접에서는 “해보니 재밌었다, 좋아하는 일은 더 잘할 수 있다고 믿는다”라고 대답했지만,
솔직히 말해 처음부터 개발을 좋아했던 건 아니었습니다.

대학교 전공도 큰 뜻이 있어서 선택한 건 아니었습니다.
남들이 다 가니까 그냥 무난하게 학교를 다녔고, 성적도 그저 그런, 평범한 학생이었죠.

그러다가 4학년 1학기가 됐을 때, 진로에 대한 고민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큰 뜻이 없이 학교생활을 했던 저에게 명쾌한 답은 없었고, 그 즈음 주목받기 시작한 개발자라는 직업을 선택하게 됐습니다.

하지만 그 순간 한 가지 다짐도 함께 했습니다.
그동안은 내가 큰 뜻이 없고 적당히, 무난하게만 살아왔으니 앞으로의 기간 동안은 정말 미친 듯이 달려보자
남들보다 뒤처진 만큼 더욱 몰입하고 밀도 있게 시간을 보내자고.

그렇게 NHN Academy에 지원해 서울에서 전라도 광주까지 내려가 10개월간 생활하며 Java라는 언어를 처음 접하고 Spring을 통해 웹 개발에 입문하게 됐습니다.

낯선 도시, 낯선 기술, 낯선 환경.
하지만 그 안에서 정말 몰입하며 누구보다도 열심히 배워왔다고 자부할 할 수 있습니다.

그 이후로는 블로그에 기록했듯, IT 커뮤니티 활동, 사이드 프로젝트, 해커톤, 오픈소스 기여까지
제 진심이 향하는 방향으로, 계속 배우고 나아가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며

제 블로그에 방문해 주시는 분들은 대부분 개발자를 준비하시는 대학생분들이 많습니다.
여러분들은 왜 개발자가 되고 싶나요? 그 나름의 답을 찾아가실 수 있다면 좋겠습니다.

그 답이 처음부터 선명하지 않아도 괜찮고, 누군가의 말에 흔들릴 수도, 때론 실패에 무너질 수도 있습니다.
저도 그 과정을 지나오고 있고, 여전히 배우고 있는 중입니다.

하지만 분명한 건, 자기 속도와 방향으로 꾸준히 걸어가는 사람은 반드시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저 역시 제가 지나온 길을 공유하며, 조금이라도 그 여정에 도움이 되는 개발자가 되고 싶습니다.

앞으로도 함께 고민하고, 기록하고, 나누는 사람이 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회고 >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회고  (2) 2025.02.03

+ Recent posts